Daemon : 서버에서 백그라운드로 클라이언트의 연결을 대기하는 프로세스
Standalone(단독실행)형 데몬 : 주로 사용 빈도가 많고, 리소스를 많이 소비하는 서버 서비스로써 단독 컴퓨터에 서비스를 설치해서 사용하는데 Database, Web, Mail ...서버 등이다. 이들은 각각 실행시켜두면 된다.
Super Daemon(슈퍼데몬) : 사용 빈도가 적거나 리소스를 작게 사용하는 서버 서비스로써 하나의 컴퓨터에 여러 서버 데몬을 실행시켜두는데, 이들이 일일이 실행되고 있으면 프로세스 수가 많아지게 되므로 대표적인 프로세스 하나만 실행해켜 두는데 이것이 슈퍼데몬 Xinetd 데몬이다. 그리고 나머지 작은 데몬들을 자식데몬이라고 하는데 이들을 실행시키려면 슈퍼데몬을 실행시켜 두면 된다. rsync, telnet, ssh, proxy, dns, dhcp, ftp등이 있다.
mount: 디스크와 같은 물리적인 장치를 디렉터리와 연결 시켜줌
새로운 장치를 mount하는 방법
1. 새장치 이름을 확인해준다.
2. fdisk를 이용해 연결된 새 장치에 파티션을 해준다.
3. 파티션 된 장치를 확인해준다. 여기선 /dev/sdb1로 생성 되어있는것을 확인했다.
4. mkfs로 포맷해준다. 여기선 ext3형식으로 포맷을 하였다.
5. 장치와 연결할 디렉터리를 만들어주고 mount 해준다.
6. 디렉터리를 확인해봤을 때 lost+found라는 파일이 만들어져 있으면 완료.
7. 번외로 umont하는 방법이다.
lsblk
mount의 파일 타입 지정
CD/DVD-ROM: iso9660
Floppy: msdos, vfat
MS-DOS: msdos
Windows: ntfs/hpfs(Linux에서 Windows HDD를 마운트 할 때 사용)
cifs(Linux Samba에서 Windows 폴더를 mount할 때 사용)
Linux: ext3, ext4
USB: vfat, fat32
NFS: nfs(Linux 머신끼리 /etc/exports를 통해 디렉터리를 공유할 때)
부팅 시 자동으로 mount
/etc/fstab에 기록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AID, LVM (0) | 2021.04.02 |
---|---|
XFS, disk Quota (0) | 2021.04.01 |
who, w, user, last, lastb, wtmp, btmp, utmp (0) | 2021.03.29 |
su, PAM, skel, process (0) | 2021.03.28 |
grep, awk, cut, sed, shell, 리눅스 환경 설정 파일들 (0) | 2021.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