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MAC주소 변경, 고정, 커널, 모듈

CentOS에서 MAC주소 변경

ifconfig (eth0) down

ifconfig (eth0) hw ether (AA:BB:CC:DD:EE:FF)   //괄호 안은 임의적으로 바꿔서 사용

ifconfig (eth0) up

 

 

CentOS에서 macchanger를 이용해 MAC주소 변경

macchanger를 다운 받은 후 압축을 풀고 ./configure && make && make install

 

macchanger -m (aa:bb:cc:dd:ee:ff) (eth0)

 

 

MAC주소 고정

중요한 서버 등의 MAC 주소는 변경하지 못하게 고정시킴
arp -i eth0 -s 192.168.253.128 da:03:38:fc:8e:38 식으로 해두면 변경하지 못한다.

 

 

Kernel은 작은 이진(binary) 파일로써 /boot 디렉터리에 자리한다.

 

 

Modular : 시스템이 실행되는 동안 커널이 참조하는 디렉터리에 모듈이라는 소프트웨어 라이브러리 이진파일을 넣어두고 필요시 로드하거나 언로드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모듈은 매우 작은 크기로 분할되어 있어서 시스템에 로드/언로드하는 시간이 빠르고 빌드와 유지가 간편하다. Linux의 디폴트 커널 방식이다. 그래픽, 멀티미디어 등 용량이 큰 프로그램에 사용.
/lib/modules 디렉터리는 Linux 커널이 사용하는 대부분 라이브러리 모듈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는 머신이 부팅될 때 이미 로드되게 된다. 

Monolithic : 필요한 모듈을 그때그때 일일이 로드해서 사용하지 않고 전체 커널을 한 번에 빌드 한 뒤 모든 모듈을 로드해서 사용하므로 실행 시 메모리에 부담은 조금 있지만 모듈라 타입보다 빠르게 시스템을 실행시킬 수 있다. DNS, DHCP 등 용량이 작은 프로그램에 사용.

 

 

커널 버전 확인

uname -a/-r

 

 

lsmod(list module) : 커널에 어느 모듈을 로드시켜서 새로운 커널로 리컴파일(recompile) 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insmod(insert module) : 실행되고 있는 커널에 모듈을 로드시키는데 'insmod 파일명' 형식으로 사용한다.

modprobe(module probe) : 로드하고자 하는 모듈의 종속적 모듈이 있는 경우 현재 실행중인 커널의 모듈 디렉터리에서 이 종속적인 모듈들을 찾아서 해당 모듈을 로딩할 때 자동으로 함께 로드시켜준다. /etc/modprobe.conf 구성파일과 /etc/modprobe.d 디렉터리에서 파일들을 읽어 올린다. 

rmmod(remove module) : 실행중인 Linux 커널에서 특정 모듈을 언로드하는데 insmod와 다르게 제거할 모듈명만 지정하면 된다. 

 

 

Linux 부팅 시 특정 모듈을 로드하지 않게 하려면 /etc/modprobe.d 아래의 blacklist. conf 파일에 해당 모듈을 지정해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