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xt 모드(CLI/CUI:Command Line/User Interface)로 설치 한 뒤 Graphic 모드로 변경
1. yum -y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Desktop" "Desktop Platform" "Fonts" "General Purpose Desktop" 으로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
2. yum -y install gdm 해서 X Window를 관리하는 패키지를 설치
GUI 모드로 설치했다면 기본적으로 Text 모드를 가지고 있으므로 필요하면 Text 모드로 들어갈 수도 있다.
사용자 전환 명령어 su
su root하면 root 사용자로 전환, su - root하면 root 사용자로 전환되면서 작업 디렉터리도 root 사용자의
작업 디렉터리로 변경된다. su root만 하면 사용자만 변경되고 작업 디렉터리는 현재 위치 그대로 이다. 예를 들어 CentOS에서 작업을 하면
su root를 했을 때 [centos@centos1 centos]$ :
centos 사용자가 centos1 호스트에 있는데 작업 디렉터리는 centos(/home/centos)이다.
su - root를 했을 때 [root@centos1 ~]# :
root 사용자가 centos1 호스트에 있는데 작업 디렉터리는 자신의 홈 디렉터리(/root/)이다.
CentOS에서 네트워크 설정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eth0은 자신의 인터넷에 따라 바꿔주면 된다.
Ubuntu에서 네트워크 설정
/etc/network/interfaces
hostname 설정 확인/변경
/etc/sysconfig/network
DNS 주소 설정 확인
/etc/resolv.conf
네트워크 관련 설정이 끝나면
ifconfig eth0 down ; ifconfig eth0 up ; service network restart 를 해준다.
리눅스에서 장치 인식
HDD: /dev/sda, /dev/sdb, /dev/sdc 등등으로 인식하고 파티션 후엔 /dev/sda1, /dev/sdb1, /dev/sdc1 식으로 보임
CD-ROM/DVD: /dev/sr0, /dev/sr1 등등으로 인식
SD-card, USB: /dev/sdb 등등으로 인식
CentOS Linux에서 파란색은 디렉터리, 빨간색은 압축파일, 검은 색은 일반파일, 초록색은 실행파일이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ep, awk, cut, sed, shell, 리눅스 환경 설정 파일들 (0) | 2021.03.28 |
---|---|
컴파일, 파일 공유, ssh (0) | 2021.03.27 |
MAC주소 변경, 고정, 커널, 모듈 (0) | 2021.03.26 |
ping, ARP, 런레벨, tty, 파일 실행 (0) | 2021.03.25 |
가상머신과 서버 (0) | 2021.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