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눅스

가상머신과 서버

  가상머신(Virtual Machine)은 VMware, Citrix, VirtualBox(Oracle), VirtualMachine(MS) 등이 있다.

 

  가상머신을 이용해 외부 Windows 10을 host machine이라고 하고 내부 여러 가상머신을 설치할 수 있는데 이들을 guest machine이라고 한다. 가상머신은 모든 운영체제를 하나의 '파일'로 보기 때문에 CPU 종속적이지 않다.

 

  CPU는 Intel, Sparc 계열 등이 있는데 이들은 자신의 운영체제를 실행하는 명령어들을 해석하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그래서 Intel 계열의 머신에서는 UNIX 같은 sparc 계열의 운영체제는 머신에 설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이들을 파일로 다루는 가상머신에서는 머신의 계열과 관계없이 UNIX, Apple Mac, Windows, ...등을 설치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여러 운영체제를 파일로 다뤄서 운영하는 기법이 바로 가상화(Virtualization)이고 이들을 유비쿼터스식으로 물리적인 위치와 무관하게 운영하는 방식을 Cloud라고 한다.

 

 

  Windows 서버는 보통 두 가지로 사용되는데 Standalone(단독실행형)과 Domain Controller(도메인 서버)로 사용된다.
단독 실행형은 일반 Windows 컴퓨터와 비슷하지만 기능면에서 매우 다르다. 단독 서버를 도메인 서버로 올리면 도메인 서버가 된다.

 

Window Server만의 장점

  GPO(Group Policy Object) 설정과 여러 도메인 간의 Trust 관계를 맺어 구축 및 연계가 가능하고, Terminal 서비스 구축하여 하나의 서버 소프트웨어를 여러 클라이언트들이 공유해서 사용 할 수 있다.

 

 

everyone은 불특정 모든 사용자로써 해당 로컬 호스트/도메인의 사용자가 아닌 사용자를 의미.
users는 일반적으로 해당 로컬 호스트/도메인의 사용자룰 의미. 사용자 생성 시 이걸로 생성 됨.  
authenticated users는 해당 호스트/도메인에서 인증받은 사용자를 의미. 사용자 생성 후 호스트/도메인에 등록하여 인증.
users, administrators 식으로 복수면 그룹을 의미. 그룹 내에는 여러 사용자가 등록 되어 있음.

 

 

host : IT 쪽에서 일반적으로 말하는 컴퓨터 
node :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든 네트워크 상의 장치들(컴퓨터, 프린터, 스위치, 라우터, .....)
computer :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PC)를 말함
workstation : 도메인에 가입된 호스트

 

 

NFS(Network File System)으로써 Linux-Linux간의 파일을 공유라는데 사용된다.
Windows-Windows 끼리도 공유를 통해서 파일을 공유한다.
Windows-Linux 간의 파일/프린터를 공유할 때에는 Samba를 사용한다.